본문 바로가기

조금씩 꾸준히 미니멀라이프16

욕실 관리도 미니멀하게 욕실은 머리를 감으며 온몸을 씻을 수 있는 공간이며, 이를 통하여 깨끗하고 상쾌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본래의 목적이 있는 공간을 우리가 어떻게 구성할지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고자 합니다. 욕실에 필요한 물건 욕실 정리와 청소 욕실에 필요한 물건 우리가 몸을 깨끗하게 하는 데에 필요한 세면도구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사람마다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기준은 다를 것입니다. 제 경험담을 조금 얘기하자면 저는 과거에 핸드워시, 얼굴 씻는 클렌징(화장 지우는 제품 포함), 샴푸, 린스, 바디워시, 풋워시 등 용도별로 세안도구를 사용했습니다. 그래서인지 욕실 수납장은 늘 물건으로 가득했고, 습도 때문에 제품에도 물때가 생기곤 했습니다. 그럼에도 세면도구는 용도별로 써야 한다는 생각에 .. 2023. 7. 1.
미니멀하지만 침실의 역할을 다하는 공간 국어사전에서 정의하는 침실은 "잠을 자는 방"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잠을 자는 공간에 우리는 어떠한 물건을 두고 생활하고 있을까요. 침실의 순기능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될 때 우리는 수면의 질이 향상되고 이는 곧 일상생활 에너지를 만드는 원천이 되기도 할 것입니다. 침실에도 미니멀한 생활은 필요합니다. 오늘은 침실을 미니멀하게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작은 공간이 만들어준 습관 침대 만으로 이루어진 공간 청결하게 유지하는 방법 작은 공간이 만들어준 습관 과거에 원룸에서 자취를 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보증금과 월세에 비해 평수는 많이 작았고 좁은 공간에서 식사, 요리, 취침, 공부, 재택근무를 해야 했습니다. 공간 분리가 전혀 안 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어떻게 하면 내가 잘 지낼 수 .. 2023. 6. 28.
냉장고도 미니멀하게 만들기 이전 글에서 주방을 미니멀하게 만드는 방법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습니다. 오늘도 이어서 미니멀한 주방을 구성하는 방법과 정리법에 대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살림에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환경과 삶에 맞춰 깔끔하고 편안한 최적의 공간을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식재료도 미니멀하게 관리하기 식탁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방법 식재료도 미니멀하게 관리하기 처음 미니멀라이프에 관한 글을 쓰면서 "대용량, 2+1, 특가한정이 2인 가구에게 이들일까 손실일까"라는 내용을 공유했습니다. 미니멀한 냉장고를 위해서는 이과정과 생각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용량 최저가 세일, 가성비와 같이 저렴한 가격에 많은 양을 중점으로 홍보를 많이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구입한 식재료를 우리는 얼마큼 잘 활용할 수 있을까요? 맞벌이 .. 2023. 6. 25.
미니멀한 주방 요리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집에서 주방이라는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좋아하는 활동을 위해 우리에겐 얼마만큼의 물건이 필요할까요? 주방도 미니멀하게 가능합니다! 미니멀하지만 불편함이 없는 주방살림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모든 조리도구가 다 필요할까? 냉장고 정리부터 시작하기 모든 조리도구가 다 필요할까? 독립을 하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물건이 의외로 많았습니다. 그 중에서도 주방 조리도구는 용도에 맞게 갖춰져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조리도구 세트를 구입하였습니다.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지금까지 사용하는 것은 국자, 뒤집개 정도였고 한두 번 사용하고 그대로인 도구가 대부분입니다. 핸드블랜더의 거품기로 간단한 요리에서 베이킹까지 활용이 가능하여 거품기가 필요 없었고, 면 건지개 또는 일반 건지.. 2023. 6. 23.
미니멀라이프로 현관과 거실 구성해보기 미니멀라이프를 위하여 물건을 버리고 공간을 만들었다면, 어떻게 구성하여 지낼 지도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집에 들어오면 가장 먼저 보이는 현관과 거실을 심플하지만 쓰임새 있게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모든 것에 정답이 없듯이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는 것이 중요함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현관 거실 현관 집의 첫 이미지이자 분위기를 좌지우지하는 현관은 깨끗해야 복이 들어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현관바닥에 물건은 최대한 두지 않으며 택배나 물품은 외관과 청결을 위해서라도 바로 정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분리수거가 매일 가능하다면 바로 하는 것이 좋고, 분리수거 요일이 정해져 있을 경우 신발장 안에 공간을 활용하여 모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외출 후 들어오면 신발은 바로 신발장에 넣고.. 2023. 6. 22.